디카

크리스마스 사진 촬영법

차돌 바위 2006. 1. 13. 13:12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로 인해 도시의 야경이 한층 화려해 지게 되었다. 각종 색 전구로 단장한 아름다운 거리의 야경을 디지털 카메라로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방법을 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몇 가지 사항만 주의하여 촬영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사진 촬영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첫째 삼각대를 사용하자

크리스마스 시즌의 사진 촬영은 주간에 보다는 야간에 사진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 상식이다. 따라서 빛이 부족한 야간에 사진을 촬영하다 보면 셔터 스피드가 느려지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렇게 셔터 스피드가 느린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를 손에 들고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손떨림으로 인해 사진이 흐려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장식한 색 전구를 촬영하려면 조리개를 최대한 개방한 상태에서도 1/8~1/15초의 느린 셔터 스피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런 상태라면 삼각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약간은 번거롭지만 더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라면 크리스마스 사진 촬영에는 삼각대를 먼저 챙기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점 모드를 설정하자.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사항은 보다 선명한 사진을 얻기 위한 사항이라 생각하면 된다.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한 기본이 바로 초점이 잘 맞은 선명한 사진이기 때문이다. 야간에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빛이 부족한 관계로 초점이 정확히 맞지 않은채 사진이 촬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이것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피사체의 외곽선을 감지하여 외곽선의 컨트라스트에 따라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빛이 부족한 어두운 곳에서는 이러한 외곽선을 감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선명한 야경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동 초점을 사용하거나 10m이상의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초점 모드 변경 버튼을 눌러 초점 모드를 풍경모드(산모양의 아이콘)로 설정한 후 촬영하는 것이 좋다.



셋째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사용한다.

디지털 카메라에 탑재되어 있는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크리스마스 야경 사진을 더욱 화려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보자들은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자동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정확한 색감을 잡아내지만 특수한 몇몇 상황에서는 이것도 저것도 아닌 밋밋한 색상을 낼 때가 발생하게 된다.

크리스마스 야경사진에 있어서도 빛을 발하는 광원이 주로 색 온도가 낮은 백열등(텅스텐) 계열의 광원이기 때문에 자동 화이트 밸런스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밋밋한 사진이 촬영되기 쉽다. 따라서 이럴 때에는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백열등 모드에 놓고 촬영하게 되면 보다 분위기 있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노출 보정 기능을 사용한다.

크리스마스 사진 촬영도 야경사진 촬영과 마찬가지로 노출 보정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사진의 분위기에 좋을 때가 많다. 잘 아시다 시피 디지털 카메라는 18%의 회색을 정상노출로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하기 때문에 밤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촬영하다 보면 약간의 노출 과다로 사진이 촬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크리스마스 사진 촬영에 있어서도 거리의 풍경과 같은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노출보정 기능을 사용해서 약간의 노출부족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효과적인 촬영법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조명가까이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조명의 빛으로 인해 노출부족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노출을 더 주어서 촬영해야 한다.






다섯째 필터를 사용하자

크리스마스 사진의 경우에는 액세서리인 필터를 사용하면 보다 색다른 분위기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필자가 권하는 필터는 빛을 여러 갈래로 갈라주는 필터인 Cross필터라고 하는 것으로 이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거리를 장식한 크리스마스 전구의 빛을 여러 갈래로 갈라주어 더욱 환상적인 분위기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image5]

 
  디매니아 ( http://mm.dreamwiz.com/dmmaster )